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Portfolio
- 다시봐
- array랑 list
- 다시정리하기
- 알고리즘 인증_1주차
- foldindexed
- 알고리즘 인증_2주차
- 취준기록
- filternot
- Filter
- 코틀린
- 알고리즘 인증
- 코딩테스트
- recyclerview
- 다시 정리해야함
- Today
- Total
Moments of growth
[정렬] K번째 수 본문
문제
코딩테스트 연습 - K번째수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programmers.co.kr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array | commands | return |
[1, 5, 2, 6, 3, 7, 4] | [[2, 5, 3], [4, 4, 1], [1, 7, 3]] | [5, 6, 3] |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접근
말 그대로 array에서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려면 i부터 j까지 for문을 돌면서 그 값을 다른 벡터 arr에 넣어준다. 그리고 그 arr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arr의 k번째에 있는 수를 answer에 넣어준다.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ay, vector<vector<int>> commands) {
vector<int> answer;
for(auto a: commands){
vector<int> arr;
for(int i=a[0]-1;i<=a[1]-1;i++){
arr.push_back(array[i]);
}
sort(arr.begin(), arr.end());
answer.push_back(arr[a[2]-1]);
}
return answer;
}
다른 사람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ay, vector<vector<int>> commands) {
vector<int> answer;
vector<int> temp;
for(int i = 0; i < commands.size(); i++) {
temp = array;
sort(temp.begin() + commands[i][0] - 1, temp.begin() + commands[i][1]);
answer.push_back(temp[commands[i][0] + commands[i][2]-2]);
}
return answer;
}
벡터는 깊은 복사! temp = array로 복사하고 temp를 sort 시켜도 array는 변하지 않는다.
temp 벡터에서 전체를 sort하지 않고 i번째부터 j번째만 sort 시켜준다. 그리고 그 temp에서 k번째 수는 temp[(comands[i][0] - 1) + (commands[i][2] - 1)]로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이중 for문을 쓰지 않아도 된다.
깊은 복사(Deep Copy)
변수가 관리하는 리소스 자체를 복사(새롭게 메모리를 할당)하여 새롭게 멤버 변수에 입력시키는 것. 얕은 복사에 비해 작업 시간과 리소스의 소모가 따름.

그림을 보면 각 객체마다 메모리 할당이 이루어져서 각자 다른 곳을 가리키고 있음
얕은 복사(Shallow Copy)
변수가 가리키는 실제 데이터가 아닌 단지 메모리 주소만을 복사하여 변수의 데이터로 만드는 방법

출처)
[C/C++ 공부]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 차이? (feat.복사 생성자)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시킬 때 멤버 변수를 어떻게 초기화하느냐에 따라 깊은 복사가 될 수 있고, 얕은 복사가 될 수 있습니다. *디폴트 생성자가 아닌 일반 생성자는 생성자의 인수를 전달 받
bblackscene21.tistory.com
'Algorithm [C++] > Programmers [Level1]' 카테고리의 다른 글
Lv1 실패율 [C++] (0) | 2022.03.24 |
---|---|
Lv1 소수 만들기 [C++] (0) | 2022.03.24 |
Lv1 신고 결과 받기 [C++] (0) | 2022.03.23 |
프로그래머스 Lv1 (0) | 2022.02.10 |